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Mozilla의
오픈 모바일
   플랫폼
             윤석찬
  한국 Mozilla 커뮤니티
  http://www.mozilla.or.kr
Agenda
 모바일 시대의 현실
 Mozilla의 오픈 모바일 전략
 •   HTML5 기반 웹 플랫폼의 한계와 Web API
 •   개방형 모바일 웹 OS (Boot to Gecko)
 •   웹 개발자를 위한 비즈니스 플랫폼 (Market Place)
 •   자신이 제어하는 분산 인증 수단 (Persona)
 미래의 웹 기술 방향
 한국의 당면 과제
 • 참고. 웹암호화 API 표준화 진행 과정
1980 vs. 2010

                 1980년대 PC 혁신
                  시대에 이어서
                  2010년대 모바일
                  혁신 시대 진입
                 단말 개수 및 이용
                  시간에 있어서
                  글로벌한 압도적인
                  성장 진행 중!
모바일 OS의 성장: 글로벌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지속적으로 성장 중!
      다양한 모바일 운영 체제 경쟁
모바일 OS의 성장: 한국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급격한 성장 중!
     모바일 운영 체제 쏠림 현상 진행
모바일 시대의 현실

             • 제 2 웹 브라우저 전쟁
             • HTML5 기반 웹 표준 부각
             • 웹 애플리케이션에 관심




             • 상용 앱스토어의 독점 현상
             • 개발자 생태계 왜곡
             • 대안이 되는 환경 부재
Messages from Mitchell Baker
 http://www.youtube.com/watch?v=wjHQ7NRGQL4
Mozilla의 주요 미션 변화


                • 오픈 소스 웹 브라우저 개발
                  커뮤니티에서 웹 플랫폼
                  기반 대안으로 자리매김

                • 웹 플랫폼을 기반한 개발자
                  생태계, 오픈 웹을 위한
                  다양한 활동 개시

                • 모바일에 대한 적극적 의지
                  표명을 통한 변화 모색
오픈 웹 플랫폼이란?
Mozilla의 오픈 모바일 전략




       https://wiki.mozilla.org/Kilimanjaro
HTML5: 현재의 Web Runtime

                                    HTML5 Buzz World?

     CSS3                                                                       ECMA 5th
                       2D Canvas
                                         HTML5            Offline
 WebFont(WOFF)              Web Form                 Markup               Audio Data API


       SVG                            Video & Audio                     Drag & Drop API


             DOM Storage          WebM Codec           Micro Data       File API



    WebGL           Web Workers        Geolocation        Device API    Indexed DB


 XMLHttpRequest 2           Server-Sent Events       Web Sockets       WebRTC              SPDY




                                   http://caniuse.com/
But, HTML – Open Living Standard




                                웹 브라우저 벤더나 W3C가 아닌
                                       웹 개발자의
                                     웹 개발자를 위한
                                     웹 개발자에 의한
                                      살아 있는 표준
  http://www.whatwg.org/specs/web-apps/current-work/multipage/
웹 앱의 네가지 문제점




     소프트웨어 설치 문제
     로컬 저장 공간 문제
     인터랙티브한 유저인터페이스 문제
     서버 의존성의 문제
(1) Installable Web App




     설치 가능한 웹 애플리케이션!
       오프라인에서 사용 가능~
   https://developer.mozilla.org/en/Using_Application_Cache
지메일 모바일 버전
오프라인에서 사용 가능~
(2) 로컬 데이터 베이스: DOM Storage




         sessionStorage.setItem('version',5);
         sessionStorage.getItem('version');




     https://developer.mozilla.org/en/DOM/Storage
지메일 모바일 버전
개인 메일 정보를 로컬에 저장
(3) 인터랙티브 API
  <input type="file" multiple />




 https://developer.mozilla.org/en/Using_files_from_web_applications

 <div id=“box" draggable></div>



 https://developer.mozilla.org/en/DragDrop/Drag_and_Drop
File API & Drag/Drop API
플러그인 없이 파일 첨부 기능 이용 가능~
(4) HTTP 의존성 탈피- WebSocket
 Web technology providing for bi-directional, full-duplex
 communications channels over a single TCP connection.

          https://developer.mozilla.org/en/WebSockets




           http://www.youtube.com/watch?v=yt_4zmCfHhg
WebRTC – 서버 의존성 탈피




    P2P 통신으로 화상 회의 및 실시간 채팅 가능!
         http://www.w3.org/TR/webrtc/
                http://webrtc.org
c.f. 과거 웹 개발 (Web Document)

                                            Model
             Internet                                            DB
                                             View
   Plug-in
                                       <! DOCTYPE XHTML…>
                                       <title>$title</title>
                        Structure      <body>
                                       <h1>Hello, Wolrd</h1>
                                       </body>
                                       </html>

                        Presentation   body { font-size: 9pt;}
                                       h1 {color:blue;}

                                       Function popup(url) {
                         Behavior      }
                                         window.open(url);




                                        Controller
HTML 5 기반 (Web application)



                          Local
Plug-in                  Storage


                                                         NoSQL
                                   Internet
          Structure
                           Ajax               RESTful
                                                        {"Name": "Cheeso",
                                                        "Rank": 7}
                                                                             disk

          Presentation
                                                           Cloud
                                                         Computing
          Behavior
그러나 아직 웹이 못하는 것


    디바이스 제어…
2. Mozilla Web API
 HTML5의 미지원 항목?
 • 통신: WiFi 정보, 모바일 통신,
 • 각종 센서: 광센서, 근접센서...
 • 하드웨어 제어: USB, BlueTooth, NFC...

 Mozilla Web API
 • HTML5 내 기본 API 이외 웹 기반 API로서 W3C의
    Device API와 함께 빠진 표준안을 제정하고 구현.
      https://wiki.mozilla.org/WebAPI
Web API의 구현 현황
 기존 지원 API
 • Geolocation (위치 정보), Orientation (가속도 센서), Audio Data
     API, WebGL (3D 그래픽), Camera API (WebRTC 에 포함)
 •   Android용 Firefox 에서 구현 완료
 개발 완료 API
 • SMS, Telephony, Contacts Settings, Network Information
     Vibration, Pointer Lock Battery Status, Resource Lock (sleeve
     금지) Light Sensor (광센서), Proximity Sensor (근접센서)
 개발 중인 API
 • WebRTC (Camera, P2P 포함) Open Web Apps (앱 관리) Device
     Storage Idle, Power Management Mobile Connection, WiFi
     Information (무선 정보),TCP Socket
 개발 예정 API
 • UDB Datagram Socket Bluetooth, USB, NFC WebSocket API,
     Background Service USB Reading(B2G 전용)
http://arewemobileyet.com/
3. Boot2Gecko
 Open Mobile Web OS
 • 웹 기반 앱의 실행에 최적화
 • 폐쇄형 상용 모바일 OS의 대안

 주요 구성
 • Gaia – 유저인터페이스
 • Gecko – 웹 런타임
 • Linux – Gonk 기반 임베디드 OS
    https://wiki.mozilla.org/B2G
다양한 디바이스에 포팅 가능!




         For Hacker
         갤럭시S2에 B2G 포팅하기
         https://developer.mozilla.org/ko/Mozilla/Boot_to_Gecko
         /Building_B2G_for_Samsung_Galaxy_S2
Demo: B2G phone
http://www.youtube.com/watch?v=Erd_oEdHc58
향후 계획
 주요 일정
 • 2012/03/09 - M2.1 Dogfood Release
 • 2012/03/26 - M2.5 Developer Preview
     Phone JSConf 에서 개발 단말 배포
 •   212/06/01 - M3
 •   2012/06/29 - M4

 제품화 계획
 • Telefnica: 올해 중 단말기 출시 (유럽 및
     남미)
 •   Deutsche Telekom (T-Mobile)
     Innovation Labs 개발에 참여.
 •   Adobe, Qualcomm 등도 협력
     (PhoneGap 의 B2G 대응)

 국내에서도 관심 있는 벤더 있음?
대안으로서 오픈 웹 앱스토어




   상용 폐쇄 앱 플랫폼
4. Mozilla 마켓플레이스
 목적: 웹 플랫폼으로서 업계표준
  기술로 어디에서라도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 환경 구축

 단말 및 운영체제 독립적인 웹 앱
  스토어 구축
 • 인증, 과금, 커뮤니티 기반 심사 시스템
   채택
 브라우저 비 의존
 • Firefox 뿐만 아니라 다른 브라우저에서
   이용 가능 및 하위 호환성 제공
 Firefox 베타 버전에 탑재 완료 및 올해
  정식 릴리스를 예정
   https://marketplace.mozilla.org
Mozilla 오픈 웹 모바일 플랫폼 (2012)
모바일/PC 앱 배포 채널 제공
앱 관리: Firefox Home Tab
표준 웹 앱 배포 스펙
Content-Type: application/xweb-app-manifest+json
 {
      "version": "1.0",
      "name": "MozillaBall",
      "description": "Exciting Open Web development action!",
      "icons": {
      "16": "/img/icon-16.png",
      "48": "/img/icon-48.png",
      "128": "/img/icon-128.png"
 },
      "developer": {
      "name": "Mozilla Labs",
      "url": "http://mozillalabs.com"
 },
      "installs_allowed_from": [
      "https://appstore.mozillalabs.com"
      ],
      "default_locale": "en"
 }


      https://developer.mozilla.org/en/OpenWebApps/The_Manifest
개발자 앱 등록 방법




    https://marketplace.mozilla.org/ko/ecosystem/
소셜 웹의 아이덴티티 위험
 자신의 개인 정보를 독점 소셜웹 사이트의 서드파티
  소셜앱에서 마음대로 사용가능




        자신의 아이덴티티 직접 제어하지 못하는 현상
            제 2의 ActiveX와 유사
6. Mozilla Persona
 소셜 웹 시대의 문제점
  • Google, Facebook, Twitter...
  • 소셜앱의 무분별한 정보 수집
  •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제어 제약

 분산형 인증 기술: BrowserID
  • 브라우저 기반의 간단한 인증 API
  • 메일 주소 기반

 Persona 와 BrowserID
  • Mozilla Persona: 인증 서비스명
  • BrowserID:Persona 의 개발 코드
     https://browserid.org/
c.f. 인증수단 비교표
Browserid.org
BrowserID 구현 기술 소개
 Veried Email Protocol
  • 메일 주소의 소유를 확인
  • Primary Identity Authority: 메일 서비스 자신이 인증 메일 서버 제공
  • Secondary Identity Authority: 제삼자가 인증 서버를 제공 확인 메일을
     송신해 소유 확인
 구현 코드
   <script src="https://browserid.org/include.js"></script>
   <script>
   navigator.id.get(function(assertion) {
   if (assertion) {
   // 인증 검증 및 처리
   } else {
   // 에러 처리
   }
   });
   </script>

 https://developer.mozilla.org/en/BrowserID/Protocol_Overview
미래의 웹 기술 방향
 서버가 필요 없는 웹
 • DOM Storage, Indexed DB
 • WebSocket, WebRTC
 • Offline App Cache
 멀티미디어 기반 웹
 • Audio/Video, 2D(Canvas/SVG), 3D(WebGL)
 • CSS3(Transform, Animation, 3D)
 디바이스 독립적 웹
 • Web API, B2G
 비즈니스 플랫폼으로서 웹
 • Mozilla Market Place
 • BrowserID
한국의 당면과제
 IE 점유율 90%, 크롬 4%, Firefox 2%...
 • Global: IE 30%, 크롬 30%, Firefox 25%, 기타 10%
 • 액티브 X 기반 PC 환경 개선

 모바일 웹 선도 ▶ PC 웹 환경 개선
 • 모바일 기반의 다양한 웹애플리케이션 장려
 • 안드로이드 중심 생태계 개선

 대안과 다양성에 대한 공론화 ▶ 글로벌 지향
참고. 한국의 액티브X
브라우저 전쟁의 비표준 기술의 산물




                                           http://msdn.microsoft.com/en-
 http://docs.oracle.com/cd/E19957-
                                     us/library/windows/desktop/aa388154%
    01/816-6152-10/sgntxt.htm
                                                28v=vs.85%29.aspx
왜 공인 인증은 웹 표준이 없나?


             관심이 없어서…
    2006년 부터 WHATWG 및 W3C HTML WG에서 제안
 http://lists.whatwg.org/htdig.cgi/whatwg-whatwg.org/2006-October/007571.html
개인적인 활동의 한계
목소리 키우기: Web Crypto API 제안




    • http://html5.creation.net/webcrypto-api/
    • Focused on certificate services, but issues on identity
Web Identity 필요성 대두
 Mozilla 내부에서 국내 액티브X 이슈화
 • 2008년 미첼 베이커 의장 방문
 • 2010년 루카스아담스키 보안총괄 방문

 BrowserID 및 DOM Crypt (2011)
    Mozilla의 아이덴티티 기능 필요
     •   http://identity.mozilla.com/post/7616727542/introduc
         ing-browserid-a-better-way-to-sign-in
    웹 기반 암호화를 통한 인증 기능 필요
     •   http://lists.whatwg.org/htdig.cgi/whatwg-
         whatwg.org/2011-May/031741.html
     •   DOM Crypt 표준 작업 진행 및 W3C 표준화 제안

 W3C 내에 Web Cryptography W/G
 • 2011년 11월 결정 및 2012년 3월 생성
W3C Web Crypto API




   http://www.w3.org/2012/webcrypto/WebCryptoAPI/
향후 진행 과정
 올해 하반기 중에 중요 웹 암호 관련 API 구현 완료
 2차 구현 기능은 스펙 작업 중
 • Web Certificate Service API로 진행 예정
    TLS login/out, key management including import/export and
      signing/verification
 • 한국의 공인 인증 기능 지원 가능

 참여 방법
 • Join W3C WebCryptography W/G
    http://lists.w3.org/Archives/Public/public-webcrypto/
 • Join W3C WebCrypto API Community Group
    http://www.w3.org/community/webcryptoapi/
지금 다운로드!
Firefox Beta for Android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org.mozilla.firefox_beta
The Story of Mozilla
함께 해 주세요!
http://www.mozilla.or.kr




    http://www.youtube.com/watch?v=AQuOhrXINiM
Reference
1.       B2G
     •    GAIA: https://github.com/andreasgal/gaia/
     •    Build: https://wiki.mozilla.org/Gaia/Hacking#Building_B2G
     •    Device Porting:
          https://developer.mozilla.org/en/Mozilla/Boot_to_Gecko#Setting_up_building_Boot_t
          o_Gecko
     •    Developer Phone:
          https://wiki.mozilla.org/B2G/DeveloperPhone#Advanced_Gaia_Hacking
     •    Mailinglist: https://groups.google.com/forum/#!forum/mozilla.dev.b2g
     •    IRC: irc://irc.mozilla.org #b2g

2.       Market Place
     •    App Manifest Standards: http://appmanifest.org
     •    개발자 문서 https://developer.mozilla.org/en/Apps
     •    앱 등록 방법 http://hacks.mozilla.org/2012/02/mozillamarketplace-open-for-app-
          submissions/

3.       BrowserID
     •    웹 사이트 탑재 방법: https://github.com/mozilla/browserid/wiki/How-to-Use-
          BrowserID-on-Your-Site
Thanks for
Listening!

Q&A
 @mozillakr
 @channyun
 channy@mozilla.or.kr

http://forums.mozilla.or.kr
http://facebook.com/mozillakr

More Related Content

PDF
오픈소스 개발 방법론 - Mozilla 사례 중심 (2010)
PDF
Mozilla 한국 활동가 모임 (2010)
PDF
리눅스와 웹표준(2004)
PDF
개방과 검색 그리고 참여 문화 (2008)
PDF
웹표준을 기반한 크로스 브라우징 표준화 (2005)
PDF
웹 애플리케이션 기술 소개 - NGWeb (2006)
PDF
국내외 소셜 웹 기술 플랫폼 현황 및 전망
PDF
HTML5 표준 소개 및 현황 (윤석찬)
오픈소스 개발 방법론 - Mozilla 사례 중심 (2010)
Mozilla 한국 활동가 모임 (2010)
리눅스와 웹표준(2004)
개방과 검색 그리고 참여 문화 (2008)
웹표준을 기반한 크로스 브라우징 표준화 (2005)
웹 애플리케이션 기술 소개 - NGWeb (2006)
국내외 소셜 웹 기술 플랫폼 현황 및 전망
HTML5 표준 소개 및 현황 (윤석찬)

What's hot (18)

PDF
Html5 guide
PDF
차세대 웹 플랫폼과 HTML5 기술 동향
PDF
W3C 국제표준화 대응 전략
PDF
스타트업을 위한 성공적인 Open AP 만들기 - 윤석찬 (2012)
PDF
웹 표준의 미래- HTML5 (2006)
PDF
한국 Mozilla 커뮤니티 활동 소개(2012)
PDF
Top 10 Questions about HTML5
PDF
강의자료 차세대 웹(Html5) 플랫폼의 동향과 구축 방안
PDF
HTML5 관점에서 본 2015년 웹개발 트렌드 및 인사이트
PPT
W3C와 국제적 웹 기술 협력을 위한 제언 (2005)
PPT
PDF
HTML5 & Hybrid App Trends
PDF
W3C HTML5 Conference 2015 - NAVER 웹 기술 및 환경 전망
PDF
HTML5 관점에서 2015년 웹 앱 개발 동향과 사례 및 2016년 발전 방향 저...
PDF
NAVER의 웹/HTML5환경 대응 현황
PDF
HTML5 Tutorial(Korean)
PPT
모바일 웹플랫폼 기술 동향
PPTX
my activities before getting a job
Html5 guide
차세대 웹 플랫폼과 HTML5 기술 동향
W3C 국제표준화 대응 전략
스타트업을 위한 성공적인 Open AP 만들기 - 윤석찬 (2012)
웹 표준의 미래- HTML5 (2006)
한국 Mozilla 커뮤니티 활동 소개(2012)
Top 10 Questions about HTML5
강의자료 차세대 웹(Html5) 플랫폼의 동향과 구축 방안
HTML5 관점에서 본 2015년 웹개발 트렌드 및 인사이트
W3C와 국제적 웹 기술 협력을 위한 제언 (2005)
HTML5 & Hybrid App Trends
W3C HTML5 Conference 2015 - NAVER 웹 기술 및 환경 전망
HTML5 관점에서 2015년 웹 앱 개발 동향과 사례 및 2016년 발전 방향 저...
NAVER의 웹/HTML5환경 대응 현황
HTML5 Tutorial(Korean)
모바일 웹플랫폼 기술 동향
my activities before getting a job

Similar to Mozilla 오픈 웹 모바일 플랫폼 (2012) (20)

PDF
01.모바일 프레임워크 이론
PDF
하이브리드 앱(Hybrid App)
PDF
차세대 웹비즈니스를 위한 "HTML5"
PDF
Web app 개발 방법론
PDF
Web os 전략 0912
PDF
HTML5 기반 다매체 연동형 서비스 발전 방향(티비스톰 정운교 이사)
PDF
WebKit at the Future Web Forum 2010
PDF
HTML5 and Smart TV
PDF
HTML5 융합 기술 표준화 동향
PPTX
Web os세미나.v1.0.111510
PDF
네이티브 웹앱 기술 동향 및 전망
PDF
네이티브 웹앱 기술 동향 및 전망
PDF
Social Tutorial Platform: Webbles
PDF
Webtech
PPTX
웹의 발전과 Adobe Air
PDF
모바일 웹앱 프로그래밍 과정
PDF
웹 2.0 기술 소개 (2006)
PDF
[Korea Linux Forum] Implementing web based online multiplayer tetris with Ope...
PPT
Html5의 현재와 미래
PDF
차세대 웹(Html5) 플랫폼의 동향과 기업 업무 적용 방안
01.모바일 프레임워크 이론
하이브리드 앱(Hybrid App)
차세대 웹비즈니스를 위한 "HTML5"
Web app 개발 방법론
Web os 전략 0912
HTML5 기반 다매체 연동형 서비스 발전 방향(티비스톰 정운교 이사)
WebKit at the Future Web Forum 2010
HTML5 and Smart TV
HTML5 융합 기술 표준화 동향
Web os세미나.v1.0.111510
네이티브 웹앱 기술 동향 및 전망
네이티브 웹앱 기술 동향 및 전망
Social Tutorial Platform: Webbles
Webtech
웹의 발전과 Adobe Air
모바일 웹앱 프로그래밍 과정
웹 2.0 기술 소개 (2006)
[Korea Linux Forum] Implementing web based online multiplayer tetris with Ope...
Html5의 현재와 미래
차세대 웹(Html5) 플랫폼의 동향과 기업 업무 적용 방안

More from Channy Yun (20)

PDF
Chaos Engineering을 위한 최신 도구 업데이트 - 윤석찬 (AWS 테크에반젤리스트)
PDF
Chaos Engineering on Microservices - 윤석찬, AWS 테크에반젤리스트
PDF
Kubernates를 위한 Chaos Engineering in Action :: 윤석찬 (AWS 테크에반젤리스트)
PDF
ICGIS 2018 - Cloud-powered Machine Learnings on Geospactial Services (Channy ...
PDF
How to Measure DevRel's Perfomances: From Community to Business - Channy Yun ...
PDF
KubeMonkey를 통한 Chaos Engineering 실전 운영하기 - 윤석찬 (AWS 테크에반젤리스트)
PDF
Game Day in Action for Chaos Engineering - 윤석찬 (AWS 테크에반젤리스트) :: 한국 카오스엔지니어링 밋업
PDF
Chaos Engineering 시작하기 - 윤석찬 (AWS 테크에반젤리스트) :: 한국 카오스엔지니어링 밋업
PDF
[다운로드] 한국 웹20주년 기념 소책자
PDF
차니의 IT 이야기 #2- 개발자 경력 관리 조언 (윤석찬)
PDF
클라우드 컴퓨팅과 Daum의 사례- 윤석찬 (KREN 연구 협력 포럼, 2013)
PDF
차니의 IT 이야기 #1- 좌충우돌 스타트업 경험기 (윤석찬)
PDF
Microservices architecture examples
PDF
글로벌 지도 API 서비스 현황과 미래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4)
PDF
빅데이터 기술 현황과 시장 전망(2014)
PDF
공공 데이터 활용 방법론 - 오픈 API 기술 및 동향 (KRNET 2014)
PDF
Mozilla Firefox OS, its Technical Platform and Future - ISET 2014
PDF
Webware - 문서에서 운영 체제 까지 - 윤석찬 (2014)
PDF
오픈 API 서비스 A to Z: Daum API를 중심으로 (윤석찬, Daum) :: API Meetup 2014
PDF
제주 다음 스페이스.1 셀프 투어 가이드
Chaos Engineering을 위한 최신 도구 업데이트 - 윤석찬 (AWS 테크에반젤리스트)
Chaos Engineering on Microservices - 윤석찬, AWS 테크에반젤리스트
Kubernates를 위한 Chaos Engineering in Action :: 윤석찬 (AWS 테크에반젤리스트)
ICGIS 2018 - Cloud-powered Machine Learnings on Geospactial Services (Channy ...
How to Measure DevRel's Perfomances: From Community to Business - Channy Yun ...
KubeMonkey를 통한 Chaos Engineering 실전 운영하기 - 윤석찬 (AWS 테크에반젤리스트)
Game Day in Action for Chaos Engineering - 윤석찬 (AWS 테크에반젤리스트) :: 한국 카오스엔지니어링 밋업
Chaos Engineering 시작하기 - 윤석찬 (AWS 테크에반젤리스트) :: 한국 카오스엔지니어링 밋업
[다운로드] 한국 웹20주년 기념 소책자
차니의 IT 이야기 #2- 개발자 경력 관리 조언 (윤석찬)
클라우드 컴퓨팅과 Daum의 사례- 윤석찬 (KREN 연구 협력 포럼, 2013)
차니의 IT 이야기 #1- 좌충우돌 스타트업 경험기 (윤석찬)
Microservices architecture examples
글로벌 지도 API 서비스 현황과 미래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4)
빅데이터 기술 현황과 시장 전망(2014)
공공 데이터 활용 방법론 - 오픈 API 기술 및 동향 (KRNET 2014)
Mozilla Firefox OS, its Technical Platform and Future - ISET 2014
Webware - 문서에서 운영 체제 까지 - 윤석찬 (2014)
오픈 API 서비스 A to Z: Daum API를 중심으로 (윤석찬, Daum) :: API Meetup 2014
제주 다음 스페이스.1 셀프 투어 가이드

Mozilla 오픈 웹 모바일 플랫폼 (2012)

  • 1. Mozilla의 오픈 모바일 플랫폼 윤석찬 한국 Mozilla 커뮤니티 http://www.mozilla.or.kr
  • 2. Agenda  모바일 시대의 현실  Mozilla의 오픈 모바일 전략 • HTML5 기반 웹 플랫폼의 한계와 Web API • 개방형 모바일 웹 OS (Boot to Gecko) • 웹 개발자를 위한 비즈니스 플랫폼 (Market Place) • 자신이 제어하는 분산 인증 수단 (Persona)  미래의 웹 기술 방향  한국의 당면 과제 • 참고. 웹암호화 API 표준화 진행 과정
  • 3. 1980 vs. 2010  1980년대 PC 혁신 시대에 이어서 2010년대 모바일 혁신 시대 진입  단말 개수 및 이용 시간에 있어서 글로벌한 압도적인 성장 진행 중!
  • 4. 모바일 OS의 성장: 글로벌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지속적으로 성장 중! 다양한 모바일 운영 체제 경쟁
  • 5. 모바일 OS의 성장: 한국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급격한 성장 중! 모바일 운영 체제 쏠림 현상 진행
  • 6. 모바일 시대의 현실 • 제 2 웹 브라우저 전쟁 • HTML5 기반 웹 표준 부각 • 웹 애플리케이션에 관심 • 상용 앱스토어의 독점 현상 • 개발자 생태계 왜곡 • 대안이 되는 환경 부재
  • 7. Messages from Mitchell Baker http://www.youtube.com/watch?v=wjHQ7NRGQL4
  • 8. Mozilla의 주요 미션 변화 • 오픈 소스 웹 브라우저 개발 커뮤니티에서 웹 플랫폼 기반 대안으로 자리매김 • 웹 플랫폼을 기반한 개발자 생태계, 오픈 웹을 위한 다양한 활동 개시 • 모바일에 대한 적극적 의지 표명을 통한 변화 모색
  • 10. Mozilla의 오픈 모바일 전략 https://wiki.mozilla.org/Kilimanjaro
  • 11. HTML5: 현재의 Web Runtime HTML5 Buzz World? CSS3 ECMA 5th 2D Canvas HTML5 Offline WebFont(WOFF) Web Form Markup Audio Data API SVG Video & Audio Drag & Drop API DOM Storage WebM Codec Micro Data File API WebGL Web Workers Geolocation Device API Indexed DB XMLHttpRequest 2 Server-Sent Events Web Sockets WebRTC SPDY http://caniuse.com/
  • 12. But, HTML – Open Living Standard 웹 브라우저 벤더나 W3C가 아닌 웹 개발자의 웹 개발자를 위한 웹 개발자에 의한 살아 있는 표준 http://www.whatwg.org/specs/web-apps/current-work/multipage/
  • 13. 웹 앱의 네가지 문제점  소프트웨어 설치 문제  로컬 저장 공간 문제  인터랙티브한 유저인터페이스 문제  서버 의존성의 문제
  • 14. (1) Installable Web App 설치 가능한 웹 애플리케이션! 오프라인에서 사용 가능~ https://developer.mozilla.org/en/Using_Application_Cache
  • 16. (2) 로컬 데이터 베이스: DOM Storage sessionStorage.setItem('version',5); sessionStorage.getItem('version'); https://developer.mozilla.org/en/DOM/Storage
  • 17. 지메일 모바일 버전 개인 메일 정보를 로컬에 저장
  • 18. (3) 인터랙티브 API <input type="file" multiple /> https://developer.mozilla.org/en/Using_files_from_web_applications <div id=“box" draggable></div> https://developer.mozilla.org/en/DragDrop/Drag_and_Drop
  • 19. File API & Drag/Drop API 플러그인 없이 파일 첨부 기능 이용 가능~
  • 20. (4) HTTP 의존성 탈피- WebSocket Web technology providing for bi-directional, full-duplex communications channels over a single TCP connection. https://developer.mozilla.org/en/WebSockets http://www.youtube.com/watch?v=yt_4zmCfHhg
  • 21. WebRTC – 서버 의존성 탈피 P2P 통신으로 화상 회의 및 실시간 채팅 가능! http://www.w3.org/TR/webrtc/ http://webrtc.org
  • 22. c.f. 과거 웹 개발 (Web Document) Model Internet DB View Plug-in <! DOCTYPE XHTML…> <title>$title</title> Structure <body> <h1>Hello, Wolrd</h1> </body> </html> Presentation body { font-size: 9pt;} h1 {color:blue;} Function popup(url) { Behavior } window.open(url); Controller
  • 23. HTML 5 기반 (Web application) Local Plug-in Storage NoSQL Internet Structure Ajax RESTful {"Name": "Cheeso", "Rank": 7} disk Presentation Cloud Computing Behavior
  • 24. 그러나 아직 웹이 못하는 것 디바이스 제어…
  • 25. 2. Mozilla Web API  HTML5의 미지원 항목? • 통신: WiFi 정보, 모바일 통신, • 각종 센서: 광센서, 근접센서... • 하드웨어 제어: USB, BlueTooth, NFC...  Mozilla Web API • HTML5 내 기본 API 이외 웹 기반 API로서 W3C의 Device API와 함께 빠진 표준안을 제정하고 구현. https://wiki.mozilla.org/WebAPI
  • 26. Web API의 구현 현황  기존 지원 API • Geolocation (위치 정보), Orientation (가속도 센서), Audio Data API, WebGL (3D 그래픽), Camera API (WebRTC 에 포함) • Android용 Firefox 에서 구현 완료  개발 완료 API • SMS, Telephony, Contacts Settings, Network Information Vibration, Pointer Lock Battery Status, Resource Lock (sleeve 금지) Light Sensor (광센서), Proximity Sensor (근접센서)  개발 중인 API • WebRTC (Camera, P2P 포함) Open Web Apps (앱 관리) Device Storage Idle, Power Management Mobile Connection, WiFi Information (무선 정보),TCP Socket  개발 예정 API • UDB Datagram Socket Bluetooth, USB, NFC WebSocket API, Background Service USB Reading(B2G 전용)
  • 28. 3. Boot2Gecko  Open Mobile Web OS • 웹 기반 앱의 실행에 최적화 • 폐쇄형 상용 모바일 OS의 대안  주요 구성 • Gaia – 유저인터페이스 • Gecko – 웹 런타임 • Linux – Gonk 기반 임베디드 OS https://wiki.mozilla.org/B2G
  • 29. 다양한 디바이스에 포팅 가능! For Hacker 갤럭시S2에 B2G 포팅하기 https://developer.mozilla.org/ko/Mozilla/Boot_to_Gecko /Building_B2G_for_Samsung_Galaxy_S2
  • 31. 향후 계획  주요 일정 • 2012/03/09 - M2.1 Dogfood Release • 2012/03/26 - M2.5 Developer Preview Phone JSConf 에서 개발 단말 배포 • 212/06/01 - M3 • 2012/06/29 - M4  제품화 계획 • Telefnica: 올해 중 단말기 출시 (유럽 및 남미) • Deutsche Telekom (T-Mobile) Innovation Labs 개발에 참여. • Adobe, Qualcomm 등도 협력 (PhoneGap 의 B2G 대응)  국내에서도 관심 있는 벤더 있음?
  • 32. 대안으로서 오픈 웹 앱스토어 상용 폐쇄 앱 플랫폼
  • 33. 4. Mozilla 마켓플레이스  목적: 웹 플랫폼으로서 업계표준 기술로 어디에서라도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 환경 구축  단말 및 운영체제 독립적인 웹 앱 스토어 구축 • 인증, 과금, 커뮤니티 기반 심사 시스템 채택  브라우저 비 의존 • Firefox 뿐만 아니라 다른 브라우저에서 이용 가능 및 하위 호환성 제공  Firefox 베타 버전에 탑재 완료 및 올해 정식 릴리스를 예정 https://marketplace.mozilla.org
  • 35. 모바일/PC 앱 배포 채널 제공
  • 37. 표준 웹 앱 배포 스펙 Content-Type: application/xweb-app-manifest+json { "version": "1.0", "name": "MozillaBall", "description": "Exciting Open Web development action!", "icons": { "16": "/img/icon-16.png", "48": "/img/icon-48.png", "128": "/img/icon-128.png" }, "developer": { "name": "Mozilla Labs", "url": "http://mozillalabs.com" }, "installs_allowed_from": [ "https://appstore.mozillalabs.com" ], "default_locale": "en" } https://developer.mozilla.org/en/OpenWebApps/The_Manifest
  • 38. 개발자 앱 등록 방법 https://marketplace.mozilla.org/ko/ecosystem/
  • 39. 소셜 웹의 아이덴티티 위험  자신의 개인 정보를 독점 소셜웹 사이트의 서드파티 소셜앱에서 마음대로 사용가능 자신의 아이덴티티 직접 제어하지 못하는 현상 제 2의 ActiveX와 유사
  • 40. 6. Mozilla Persona  소셜 웹 시대의 문제점 • Google, Facebook, Twitter... • 소셜앱의 무분별한 정보 수집 •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제어 제약  분산형 인증 기술: BrowserID • 브라우저 기반의 간단한 인증 API • 메일 주소 기반  Persona 와 BrowserID • Mozilla Persona: 인증 서비스명 • BrowserID:Persona 의 개발 코드 https://browserid.org/
  • 43. BrowserID 구현 기술 소개  Veried Email Protocol • 메일 주소의 소유를 확인 • Primary Identity Authority: 메일 서비스 자신이 인증 메일 서버 제공 • Secondary Identity Authority: 제삼자가 인증 서버를 제공 확인 메일을 송신해 소유 확인  구현 코드 <script src="https://browserid.org/include.js"></script> <script> navigator.id.get(function(assertion) { if (assertion) { // 인증 검증 및 처리 } else { // 에러 처리 } }); </script> https://developer.mozilla.org/en/BrowserID/Protocol_Overview
  • 44. 미래의 웹 기술 방향  서버가 필요 없는 웹 • DOM Storage, Indexed DB • WebSocket, WebRTC • Offline App Cache  멀티미디어 기반 웹 • Audio/Video, 2D(Canvas/SVG), 3D(WebGL) • CSS3(Transform, Animation, 3D)  디바이스 독립적 웹 • Web API, B2G  비즈니스 플랫폼으로서 웹 • Mozilla Market Place • BrowserID
  • 45. 한국의 당면과제  IE 점유율 90%, 크롬 4%, Firefox 2%... • Global: IE 30%, 크롬 30%, Firefox 25%, 기타 10% • 액티브 X 기반 PC 환경 개선  모바일 웹 선도 ▶ PC 웹 환경 개선 • 모바일 기반의 다양한 웹애플리케이션 장려 • 안드로이드 중심 생태계 개선  대안과 다양성에 대한 공론화 ▶ 글로벌 지향
  • 47. 브라우저 전쟁의 비표준 기술의 산물 http://msdn.microsoft.com/en- http://docs.oracle.com/cd/E19957- us/library/windows/desktop/aa388154% 01/816-6152-10/sgntxt.htm 28v=vs.85%29.aspx
  • 48. 왜 공인 인증은 웹 표준이 없나? 관심이 없어서… 2006년 부터 WHATWG 및 W3C HTML WG에서 제안 http://lists.whatwg.org/htdig.cgi/whatwg-whatwg.org/2006-October/007571.html
  • 50. 목소리 키우기: Web Crypto API 제안 • http://html5.creation.net/webcrypto-api/ • Focused on certificate services, but issues on identity
  • 51. Web Identity 필요성 대두  Mozilla 내부에서 국내 액티브X 이슈화 • 2008년 미첼 베이커 의장 방문 • 2010년 루카스아담스키 보안총괄 방문  BrowserID 및 DOM Crypt (2011)  Mozilla의 아이덴티티 기능 필요 • http://identity.mozilla.com/post/7616727542/introduc ing-browserid-a-better-way-to-sign-in  웹 기반 암호화를 통한 인증 기능 필요 • http://lists.whatwg.org/htdig.cgi/whatwg- whatwg.org/2011-May/031741.html • DOM Crypt 표준 작업 진행 및 W3C 표준화 제안  W3C 내에 Web Cryptography W/G • 2011년 11월 결정 및 2012년 3월 생성
  • 52. W3C Web Crypto API http://www.w3.org/2012/webcrypto/WebCryptoAPI/
  • 53. 향후 진행 과정  올해 하반기 중에 중요 웹 암호 관련 API 구현 완료  2차 구현 기능은 스펙 작업 중 • Web Certificate Service API로 진행 예정  TLS login/out, key management including import/export and signing/verification • 한국의 공인 인증 기능 지원 가능  참여 방법 • Join W3C WebCryptography W/G  http://lists.w3.org/Archives/Public/public-webcrypto/ • Join W3C WebCrypto API Community Group  http://www.w3.org/community/webcryptoapi/
  • 54. 지금 다운로드! Firefox Beta for Android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org.mozilla.firefox_beta
  • 55. The Story of Mozilla 함께 해 주세요! http://www.mozilla.or.kr http://www.youtube.com/watch?v=AQuOhrXINiM
  • 56. Reference 1. B2G • GAIA: https://github.com/andreasgal/gaia/ • Build: https://wiki.mozilla.org/Gaia/Hacking#Building_B2G • Device Porting: https://developer.mozilla.org/en/Mozilla/Boot_to_Gecko#Setting_up_building_Boot_t o_Gecko • Developer Phone: https://wiki.mozilla.org/B2G/DeveloperPhone#Advanced_Gaia_Hacking • Mailinglist: https://groups.google.com/forum/#!forum/mozilla.dev.b2g • IRC: irc://irc.mozilla.org #b2g 2. Market Place • App Manifest Standards: http://appmanifest.org • 개발자 문서 https://developer.mozilla.org/en/Apps • 앱 등록 방법 http://hacks.mozilla.org/2012/02/mozillamarketplace-open-for-app- submissions/ 3. BrowserID • 웹 사이트 탑재 방법: https://github.com/mozilla/browserid/wiki/How-to-Use- BrowserID-on-Your-Site
  • 57. Thanks for Listening! Q&A @mozillakr @channyun [email protected] http://forums.mozilla.or.kr http://facebook.com/mozillakr